320x100 기타 잡담10 아무날도 아닌데 와이프한테 선물해보기(에스티로더 갈색병?) 아무날도 아닌데 뜬금없이 짧은 편지와 함께 선물해봤다. 나름대로 큰 돈 썻다 개인적으로 비싼 화장품 사서 쓰는걸 선호?하지 않는다. 물론 이정도는 누군가에겐 적절한 가격이겠지만... 나에겐 굉장히 고가의 화장품이다. 비싼걸 선호하지 않는 이유는 굉장히 간단하다. 가격대비 효과가 굉장히 적을거라 생각하는 타입이다. 건강보조식품도 사실상 물이라고 판단하는 사람이 나다. 홍삼이던 다른 건강식품 함유량을 보면 정말 많은게 한 자리 수%... 적은건 0.x% 심지어 소수점 두자리까지 내려가는 경우도 있다. 정말 단순 선물용이다. 이를 통해 건강보조를 받겠다는 생각은 안하는게 좋을거 같단 생각이다. 만약 한다면 플라시보 효과정도? 물론 음료와 보조식품의 차이는 분명있겠지만 난 그마저도 별로 클거라 생각하지 않는다... 기타 잡담 2023. 3. 11. 더보기 ›› 2023년 3월 6일 고용노동부,「근로시간 제도 개편 방안」 발표 2023년 3월 6일 고용노동부,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근로시간 제도 개편 방안을 확정하였습니다. 관련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안녕하십니까? 고용노동부 장관 이정식입니다. 지금부터 ‘근로자의 선택권, 건강권, 휴식권 보장’을 위한근로시간 제도 개편방안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제도 개편방향 ■ 우리나라 근로시간 제도는 근로시간이 곧 성과가 되는 공장제 생산방식을 상정하여주 단위 상한 규제 중심으로 운영되어 왔습니다. 2018년 근로시간 단축을 위해 주 52시간제를 도입하였으나, 획일적·경직적인 주 단위 상한 규제 방식은 바뀌지 않았습니다. 그 결과, 현재의 근로시간 제도는 근로자와 기업의 근로시간 선택권을 제약하고 날로 다양화·고도화되는 노사의 수요를 담아내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선택권과 건강권이 .. 기타 잡담 2023. 3. 7. 더보기 ›› KOSHA GUIDE 지침은 몇 건일까?(23년 3월 기준) KOSHA GUIDE 지침은 몇 건일까요? 시료 채취 및 분석지침 : 188건 조선항만하역지침 : 5건 건설안전지침 : 104건 안전설계지침 : 63건 전기계장일반지침 : 155건 화재보호지침 : 4건 안전보건일반지침 : 114건 건강진단 및 관리지침 : 203건 화학공업지침: 1건 기계일반지침: 177건 점검정비유지 관리지침: 4건 공정안전지침: 173건 산업독성지침: 32건 작업환경 관리지침: 24건 리스크 관리지침: 64건 총 15개 분야 1,311건의 지침을 보유중이다. (공단에서는 1,372건이라고 되어 있으나 홈페이지에 게시된 것은 1,311건이다.) KOSHA GUIDE는 1995년 이후 지속적으로 기술지침을 개발, 보유 중이다. 혹시 KOSHA GUIDE의 제개정이 필요한 경우 공단으로 연.. 기타 잡담 2023. 3. 5. 더보기 ›› 기업들이 안전설비 또는 기술에 투자하는 이유 기업들이 안전설비에 투자하는 이유는 너무 당연하지만 더 나은 작업환경을 구축하여 생산성을 향상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습니다. 불과 몇 십년 전만 하더라도 사고는 당연히 나는 것이였고 그러한 노동자의 희생은 당연한 것처럼 보였습니다 (물론 실제로 이런말을 하진 않았지만 당시 사회분위기는 그랬었죠) 하지만 최근 몇년 급속도로 안전에 대한 인식이 바뀌고 있습니다. 지난 십여년간 안전의 중요성을 말로만 실천하던 것에서 행동으로 실천하는 기업과 개인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제는 생산성보다 안전! 많은 기업들이 안전 설비 또는 기술에 투자하는 이유는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고 사고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함입니다. 안전한 작업환경은 근로자들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며, 조직 내에서 생산성을 높이는 데에도 도움이 됩.. 기타 잡담 2023. 2. 26. 더보기 ›› 법, 시행령, 시행규칙의 차이점 소개 우리나라는 법, 시행령, 시행규칙이라는 법적 개념을 사용합니다.(헌법과 특별법은 여기서 별도로 언급안하겠습니다) 이들은 모두 법률적인 효력을 지니며, 법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규정합니다. 그러나 이들 간에는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요? 법 법은 국가에서 제정한 법률을 의미하며, 헌법 다음으로 효력을 가지는 규정입니다. 법은 국회에서 제정하며, 대한민국 헌법을 비롯한 모든 법은 국회에서 제정됩니다. 법은 대한민국의 모든 국민이 준수해야 할 법적 규제입니다. 시행령 시행령은 법을 구체화하고, 시행하기 위해 정부에서 제정하는 법률입니다. 대통령령이라고도 하며 각 중앙행정기관에서 대통령령안을 만듭니다. 시행령은 법의 기본적인 원칙을 규정하며, 법이 실제로 시행될 수 있도록 필요한 세부적인 규정을 담고 있습니다... 기타 잡담 2023. 2. 25. 더보기 ›› 300x250 이전 1 2 다음